"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미생물 군집(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 구축 추진

작성일 2021-08-23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농식품부,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 구축 추진, 보도자료(8.23, 조간).hwp

100

농식품부, 미생물 군집(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 구축 추진
- 23년까지 미생물 수집·분석 전문시설 및 빅데이터 3,500건 이상 구축 -
 
<< 주 요 내 용 >>
 
(개요) 농식품 분야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군집) 자원 수집·분석·분양 및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 지원을 위한 전문 시설 구축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백산리 750, 1개 동 지상 4층 규모(연면적 7,974)
 
(주요 설비) 자원 보존시설(용량: 50만점), 미생물 유전체·성분 등 분석 설비, 동물실험실, 기업·연구소 입주 공간, 회의·전시실 등
 
(DB 구축) 토양·식물, 동물 분변, 식품 등에서 수집한 미생물 자원의 유전체 등을 분석해 DB 구축 및 활용 지원(교육, 정보 제공 등)
 
* 미생물 군집 유전체 DB 구축: (’20) 550(’23) 3,500점 이상(누적)
 
<< 세 부 내 용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신산업 분야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및 산업 지원을 위한 전문 은행인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823일 착공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이란 사람이나 동식물과 공생하는 미생물 군집을 말하며, 최근 이러한 미생물 구성이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밝혀지며 식품, 사료·비료·농약,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번에 착공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는 실물 자원의 수집, 보존뿐 아니라 미생물 군집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기반 융복합 기술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문기관으로 ’23년 상반기 완공하여 하반기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센터 내에는 미생물 유전체 등 분석 장비 및 초저온 보존시설, 동물실험실 등 연구 설비와 함께 기업·연구소 등이 입주할 수 있는 공간과 회의실, 전시·홍보실 등이 구축될 예정이다.
 
또한 ’23년까지 토양·식물, 동물 분변, 식품 등에서 3,500이상의 미생물 시료를 수집하고 유전체 및 특성 정보를 분석 마이크로바이옴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후 매년 1천 점 이상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센터 건립 이후 이러한 자원 및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용한 기능을 지닌 미생물을 발굴해 산업계에 분양하고, 데이터 공유 및 분석 도구 제공, 데이터 활용 방법 교육 등을 통해 데이터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융복합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마이크로바이옴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신산업 분야로 해외 선도 기업들은 우수한 미생물 자원 확보와 빅데이터 구축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라고 하면서,
 
* 미국 Indigo Agriculture4만점 이상의 식물 공생 미생물 DB를 구축해 10% 이상 수확량을 증진하는 종자 코팅 기술을 상용화하여 6억 달러 이상 투자 유치 성공
 
이번에 구축되는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를 통해 이러한 핵심 기반을 조성하여 향후 관련 연구와 제품·서비스 개발 등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 개요 및 추진 계획
 
(사업 개요) 농식품 분야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군집) 자원 수집·분석·분양 및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 지원을 위한 자원센터 건립
 
(사업기간·예산) ’19~’23 사업비 총 300억원(국비 50%, 지방비 50%)
 
(사업시행/운영) 전라북도·순창군 /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규모) 1개동 지상 4(연면적 7,974), 자원 보존 용량: 50만점
 
사업 추진 현황 및 계획
 
(추진 현황) 건축 실시설계 완료(~’21.3), 유전체 분석장비 등을 사전 도입해(’20, 진흥원 건물에 임시 설치) 미생물군집 분석 DB 550건 구축
 
* 농업 165(농지, 산지 등), 식품 235(김치, 된장 등), 축산 150(, 돼지, , , 고양이)
 
(계획) 미생물 보존·분석 설비, DB 구축 등 추진(건축: ’21.8~’23.6)
 
구분 주요 내용
건축
설비
1 자원보관실, 전시실, 방문자 휴게실, 기계/전기실, 공조실
2 연구실, 시료전처리실, 분석기기실, 생물안전 2등급(BL2) 실험실
3 사무/행정실, 문서고 4 동물실험실, 실험창고, 직원 휴게실 등
DB 구축 미생물 군집 구성(NGS 분석), 유전체, 특성평가 정보 등 DB화 및 정보포털 구축
 
- ’21 목표: 실물자원 수집(토양, 분변 등) 및 군집유전체 분석 1,000, 실물자원에서 유용 균주 분리 5,000, 전장유전체 분석 30
 
* 군집유전체 분석: 시료 내 전체 미생물의 핵심유전자를 분석해 미생물 종류별 구성 비율 분석 / 전장유전체 분석: 분리한 균주의 전체 유전체서열을 분석
 
 
(운영) ’23 하반기부터 센터 시설 운영 및 데이터 제공 등 추진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8. 23.]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제12호 태풍 오마이스 대응 긴급 점검회의 개최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도축장(부천축산물공판장) 코로나19 방역 현장 점검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