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미생물 군집(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 구축 추진 |
||||||||||||||||||||||||||
---|---|---|---|---|---|---|---|---|---|---|---|---|---|---|---|---|---|---|---|---|---|---|---|---|---|---|
작성일 | 2021-08-23 | 작성자 | 관리자 | |||||||||||||||||||||||
첨부파일 | 다운로드 농식품부,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 구축 추진, 보도자료(8.23, 조간).hwp | |||||||||||||||||||||||||
100 |
||||||||||||||||||||||||||
농식품부, 미생물 군집(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 구축 추진
- ’23년까지 미생물 수집·분석 전문시설 및 빅데이터 3,500건 이상 구축 - << 주 요 내 용 >> □ (개요) 농식품 분야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군집) 자원 수집·분석·분양 및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 지원을 위한 전문 시설 구축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백산리 750, 1개 동 지상 4층 규모(연면적 7,974㎡) ○ (주요 설비) 자원 보존시설(용량: 50만점), 미생물 유전체·성분 등 분석 설비, 동물실험실, 기업·연구소 입주 공간, 회의·전시실 등 ○ (DB 구축) 토양·식물, 동물 분변, 식품 등에서 수집한 미생물 자원의 유전체 등을 분석해 DB 구축 및 활용 지원(교육, 정보 제공 등) * 미생물 군집 유전체 DB 구축: (’20) 550점 → (∼’23) 3,500점 이상(누적) << 세 부 내 용 >>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신산업 분야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및 산업 지원을 위한 전문 은행인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를 8월 23일 착공한다. ○ 마이크로바이옴이란 사람이나 동식물과 공생하는 미생물 군집을 말하며, 최근 이러한 미생물 구성이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밝혀지며 식품, 사료·비료·농약,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 이번에 착공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는 실물 자원의 수집, 보존뿐 아니라 미생물 군집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기반 융복합 기술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문기관으로 ’23년 상반기 완공하여 하반기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 센터 내에는 미생물 유전체 등 분석 장비 및 초저온 보존시설, 동물실험실 등 연구 설비와 함께 기업·연구소 등이 입주할 수 있는 공간과 회의실, 전시·홍보실 등이 구축될 예정이다. ○ 또한 ’23년까지 토양·식물, 동물 분변, 식품 등에서 3,500점 이상의 미생물 시료를 수집하고 유전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해 마이크로바이옴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후 매년 1천 점 이상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센터 건립 이후 이러한 자원 및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용한 기능을 지닌 미생물을 발굴해 산업계에 분양하고, 데이터 공유 및 분석 도구 제공, 데이터 활용 방법 교육 등을 통해 데이터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융복합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 농식품부 관계자는 “마이크로바이옴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신산업 분야로 해외 선도 기업들은 우수한 미생물 자원 확보와 빅데이터 구축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라고 하면서, * 미국 Indigo Agriculture社는 4만점 이상의 식물 공생 미생물 DB를 구축해 10% 이상 수확량을 증진하는 종자 코팅 기술을 상용화하여 6억 달러 이상 투자 유치 성공 ○ “이번에 구축되는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를 통해 이러한 핵심 기반을 조성하여 향후 관련 연구와 제품·서비스 개발 등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마이크로바이옴 자원센터 개요 및 추진 계획 □ (사업 개요) 농식품 분야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군집) 자원 수집·분석·분양 및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 지원을 위한 자원센터 건립 ○ (사업기간·예산) ’19~’23 사업비 총 300억원(국비 50%, 지방비 50%) ○ (사업시행/운영) 전라북도·순창군 /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규모) 1개동 지상 4층(연면적 7,974㎡), 자원 보존 용량: 50만점 □ 사업 추진 현황 및 계획 ○ (추진 현황) 건축 실시설계 완료(~’21.3), 유전체 분석장비 등을 사전 도입해(’20, 진흥원 건물에 임시 설치) 미생물군집 분석 DB 550건 구축 * 농업 165건(농지, 산지 등), 식품 235(김치, 된장 등), 축산 150(소, 돼지, 닭, 개, 고양이) ○ (계획) 미생물 보존·분석 설비, DB 구축 등 추진(건축: ’21.8~’23.6)
- ’21 목표: 실물자원 수집(토양, 분변 등) 및 군집유전체 분석 1,000점, 실물자원에서 유용 균주 분리 5,000주, 전장유전체 분석 30건 * 군집유전체 분석: 시료 내 전체 미생물의 핵심유전자를 분석해 미생물 종류별 구성 비율 분석 / 전장유전체 분석: 분리한 균주의 전체 유전체서열을 분석 ![]() ○ (운영) ’23 하반기부터 센터 시설 운영 및 데이터 제공 등 추진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8. 23.]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농식품부] 제12호 태풍 오마이스 대응 긴급 점검회의 개최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농식품부] 도축장(부천축산물공판장) 코로나19 방역 현장 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