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유엔식량농업기구(FAO) 2021년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상승

작성일 2021-10-08 작성자 관리자

100

유엔식량농업기구(FAO)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상승
 
<< 주 요 내 용 >>
 
20219FAO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1.2% 상승한 130.0포인트
 
전월 대비 상승률은 곡물·유지류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
 
<< 세 부 내 용 >>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19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128.5포인트) 대비 1.2% 상승 130.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5개 품목군 중 곡물과 유지류 지수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식량가격지수: (`21.1) 113.3 (2) 116.5 (3) 119.1 (4) 121.9 (5) 127.9 (6) 125.0 (7) 124.4 (8) 128.5 (9) 130.0
 
FAO 식량가격지수 : ’96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8월 육류(112.5115.4), 유제품(116.0116.2), 곡물(129.8129.9), 유지류(165.7165.9), 설탕(120.1120.5) 가격이 보정되어 8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27.4128.5)
 
 
(육류) 20218(115.4포인트)보다 0.1% 상승한 115.5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26.3% 상승)
 
돼지고기는 중국과 유럽 지역 수요가 감소하고 가금육은 공급량이 증가하여 가격이 하락하였다.
 
쇠고기는 오세아니아와 남미 지역의 도축용 가축 공급이 저조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양고기는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수출 가능 물량이 부족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곡물) 20218(129.9포인트)보다 2.0% 상승한 132.5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27.3% 상승)
 
국제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수출 가능 물량의 제약(주요 수출국 작황 부진 등)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허리케인으로 인해 미국 항만시설 운영이 일부 중단되었으나 미국·우크라이나에서 수확이 시작되고 세계적으로 작황이 개선되어 가격에 큰 변동이 없었다.
 
은 교역 활동이 개선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보리는 수요가 많은데 러시아의 생산량 전망이 하향 조정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지류) 20218(165.9포인트)보다 1.7% 상승한 168.6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60% 상승)
 
팜유는 국제 수요가 높고, 주요 생산국인 말레이시아에서 이주노동자 감소로 생산량 저조가 우려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채씨유는 장기화된 세계 공급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 바이오디젤 부문의 수요가 불확실하여 가격이 하락하였으며, 해바라기씨유 2021/22년도 생산량이 충분할 것으로 전망되어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제품) 20218(116.2포인트)에서 1.5% 상승한 117.9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15.2% 상승)
 
버터, 치즈, 탈지분유, 전지분유 등 유제품은 계절상 재고량·생산량이 적고 수요는 높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설탕) 20218(120.5포인트)보다 0.5% 상승한 121.2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53.5% 상승)
 
설탕은 최대 수출국 브라질의 건조한 날씨에 서리가 내려 생산량 감소가 우려되었으나, 국제 수요가 둔화되고 인도·태국 등 다른 주요 수출국의 생산량 전망은 양호한 상황이다.
 
FAO2021/22년도 세계 곡물 수급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2021/22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사상 최대인 2,800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1.1%(30.4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519.7백만톤(1.3%) / 잡곡 1,503.6(1.6%) / 776.7(0.1%)
 
2021/22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2,811.4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1.8%(48.5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519.6백만톤(1.8%) / 잡곡 1,512.8(1.4%) / 779.1(2.4%)
 
2021/22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817.5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0.4%(3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186.7백만톤(0.6%) / 잡곡 346.5(0.4%) / 284.3(0.9%)
 
본 자료는 보도편의를 위해 FAO의 발표자료를 요약·정리한 내용이므로 상세 내용은 FAO 홈페이지(www.fao.org/worldfoodsituation/foodpricesindex/en) 참조
 
 
참고2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식량가격지수 (2013~2021)
 
 
연도 식량가격지수 곡물 유지류 설탕 유제품 육류
2013 120.1 129.1 119.5 109.5 140.9 106.2
2014 115.0 115.8 110.6 105.2 130.2 112.2
2015 93.1 95.9 90.0 83.2 87.1 96.7
2016 91.9 88.3 99.4 111.6 82.6 91.0
2017 1 97.7 88.7 112.2 125.8 98.6 91.9
2 98.1 90.0 108.0 125.6 99.2 93.9
3 96.2 87.9 101.6 111.9 100.6 95.7
4 95.1 86.9 97.6 101.7 100.0 97.6
5 97.4 88.3 102.0 99.4 104.8 99.5
6 98.0 92.4 97.5 86.0 109.7 100.7
7 100.2 96.9 96.7 90.5 113.9 101.2
8 99.3 92.3 99.2 88.9 116.9 100.3
9 99.9 92.1 103.8 89.0 118.4 99.2
10 98.9 91.8 102.7 88.7 115.4 98.4
11 98.9 92.1 103.8 92.7 111.4 98.4
12 96.4 92.4 98.0 89.0 107.3 96.1
(평균) 98.0 91.0 101.9 99.1 108.0 97.7
2018 1 96.7 95.0 98.3 87.2 106.0 95.6
2 97.8 98.2 95.6 83.9 108.8 97.0
3 99.0 101.6 95.4 80.9 111.3 97.2
4 98.5 103.7 94.0 76.8 110.0 95.9
5 98.6 105.2 92.2 76.4 111.4 95.3
6 96.9 100.6 89.4 77.4 112.3 95.1
7 95.0 98.2 86.9 72.5 110.1 94.6
8 95.9 103.2 84.5 68.6 108.5 95.8
9 94.2 100.2 82.4 70.4 108.3 94.1
10 93.3 100.7 81.4 76.5 102.8 92.3
11 92.2 99.5 76.6 79.9 100.0 92.9
12 92.2 100.9 76.9 78.3 97.8 92.9
(평균) 95.9 100.6 87.8 77.4 107.3 94.9
2019 1 93.2 101.5 80.3 79.3 100.9 92.3
2 94.0 100.6 81.8 80.3 103.8 93.1
3 93.1 97.4 78.5 78.7 105.6 94.6
4 93.6 94.5 79.2 79.3 106.1 97.8
5 94.2 94.1 78.6 76.7 106.6 100.5
6 95.3 98.7 77.5 79.9 102.9 101.2
7 95.1 97.3 78.1 79.4 101.1 102.4
8 94.0 92.3 82.6 76.2 100.3 102.3
9 93.3 91.6 83.9 73.5 99.6 101.0
10 95.2 95.7 84.1 77.8 100.8 101.6
11 98.6 95.4 93.2 79.2 102.5 106.5
12 101.0 97.2 101.5 83.0 103.5 106.6
(평균) 95.0 96.4 83.3 78.6 102.8 100.0
2020 1 102.5 100.5 108.7 87.5 103.8 103.6
2 99.4 99.4 97.6 91.4 102.9 100.5
3 95.1 97.7 85.4 73.9 101.5 99.4
4 92.4 99.3 81.2 63.2 95.8 96.9
5 91.0 97.5 77.8 67.8 94.4 95.4
6 93.1 96.7 86.6 74.9 98.3 94.8
7 93.9 96.9 93.2 76.0 101.8 92.2
8 95.8 99.0 98.7 81.1 102.1 92.2
9 97.9 104.0 104.6 79.0 102.3 91.5
10 101.2 111.6 106.5 84.7 104.5 91.8
11 105.5 114.4 121.9 87.5 105.4 93.3
12 108.5 115.9 131.2 87.1 109.2 94.8
(평균) 98.0 102.7 99.4 79.5 101.8 95.5
2021 1 113.3 124.2 138.9 94.2 111.2 96.0
2 116.5 125.7 147.5 100.2 113.1 97.8
3 119.1 123.6 159.3 96.2 117.5 100.8
4 121.9 125.6 162.2 100.0 119.1 104.3
5 127.9 132.8 174.9 106.8 121.1 107.4
6 125.0 129.4 157.7 107.7 119.9 110.7
7 124.4 125.5 155.5 109.6 116.7 114.1
8 128.5 129.9 165.9 120.5 116.2 115.4
9 130.0 132.5 168.6 121.2 117.9 115.5
(평균) 122.9 127.7 158.9 106.3 117.0 106.9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10. 8.]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유기·무항생제 인증 축산물 소비 촉진 할인행사 개최(10/14~31)
이전게시물 [2050탄소중립위원회]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온라인 토론회 개최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