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미래 시장 대응과 제조기반 강화를 위한 식품 분야 연구개발(R&D) 지원

작성일 2021-12-27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농식품부, 미래 시장 대응과 제조기반 강화를 위한 식품 분야 연구개발(R&D) 지원, 보도자료(12.27, 조간).hwp

100

농식품부, 미래 시장 대응과 제조기반 강화를 위한 식품 분야 연구개발(R&D) 지원
 
<< 주 요 내 용 >>
 
2022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R&D) 신규과제 선정 공고
 
투자 방향 : 식품 산업의 탄소중립 대응, 식품 제조 기반기술 확보, 미래 유망 분야 육성을 위한 과제 중점 지원
 
과제 규모 : 31개 신규과(‘2289억 원, 5년간 총 450억 원)
 
* 지정공모과제(24) : (’22) 72.58억 원(5년간 총 372.73억 원)
* 자유응모과제(7) : (‘22) 16.86억 원
 
일정 : (공고) 2021.12.24.~2022.2.15., (접수) 2022.1.11.~2.15. 18
 
식품 R&D 예산 규모 증액 : (’21) 313억 원 (‘22) 338(8% )
 
<< 세 부 내 용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식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22년에도 식품 분야 연구개발(R&D) 투자를 계속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R&D) 투자 규모를 작년 313억 원에서 8% 증액한 338억 원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하였다.
 
2022년에 새로 선정할 신규과제는 식품 분야 산··연 전문가의 협의와 검토를 거쳐 31개로 정하고, 향후 5년간 총 45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 내년 31개 신규과제에 투입되는 예산은 89억 원으로, 24개는 지정공모과제, 7개는 자유응모과제로 구분하여 연구수행기관을 공모한다.
 
2022년 지정공모과제 예산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 혁신, 식품 제조 기반기술의 확보, 미래 유망 분야 육성에 중점을 두고 편성하였다.
 
먼저 지난 10월 발표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이행을 위해, 대체식품 및 친환경 식품 포장 관련 기술개발에 총연구비 139억 원(‘2225억 원, 8개 과제)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현장 수요가 높은 범용적 설비 및 부품 개발, 가공·검사 기술 개발전통식품(장류) 생산 공정의 스마트화 등 식품 제조 기반기술 확보를 위해 총연구비 105억 원(’2222억 원, 7개 과제) 규모의 과제를 공모하기로 했다.
 
질환 관리식, 기능성 소재 등 건강 관리 식품의 산업화 기술세계적 수준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K-Food 핵심 소재 생산기술 등 유망 분야 성장 지원을 위한 과제에도 총연구비 130(‘2225억 원, 9개 과제)을 지원한다.
 
자유응모과제는 식품 분야 산업화 기술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연구자들이 자율적으로 주제를 제안하면 이를 심사해 지원하는 분야이다.
 
‘22년 연구비 예산 중 약 17억 원 규모로 7개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 다양한 수요의 연구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단기·소액 과제 2(연구기간 19개월 이내, 연간 연구비 1억 원 이내), ·기 과제 2, 벤처기업 주관 과제 2, 우수과제 후속 연구 지원 과제 1개로 구분하여 공모가 진행된다.
 
농식품부는 식품 분야 연구개발 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과제관리 및 사업화 지원도 병행한다.
 
과제를 수행하는 중·소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과제 또는 사업화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를 매칭하거나, 기술거래 지원을 위한 기술소개서 작성 등을 지원하고,
 
투자유치 및 안정적인 판로 확보를 위해 농식품 모태펀드, 혁신제품 지정과 같은 사업 간 연계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는 20211224일부터 2022215일까지, 접수는 2022111일부터 21518시까지 진행할 예정이고, 자세한 내용은 농림축산식품부 누리집(www.mafra.go.kr), 농림식품 연구개발사업 통합정보서비스(www.fris.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식품부 정현출 식품산업정책관은 국내·외 시장 여건이 급변하고 있어 기술을 통한 돌파구 모색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으로, 식품산업도 예외가 아니다.”라고 밝히며,
식품 R&D 사업을 통해 국내 식품산업의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활동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참고   2022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지정공모과제 목록
 
(단위 : 백만원 이내)
연 구 과 제 명 연구
기간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22
식물성 발효제품 가공기술 개발 39개월 281 1,406
계란 대체 식물성 소재 개발 39개월 188 938
가축 유래의 다양한 줄기세포로부터 근육 및 지방조직 배양/분화기법 개발 49개월 690 4,370
배양육 산업화를 위한 축종별 근육줄기세포 특성분석 및 천연물 기반 축종별 맞춤형 무혈청 배지 대량생산 기술 개발 49개월 495 3,225
신장·당뇨질환 관리를 위한 영양성분이 조절된 식단관리형 제품개발 49개월 330 2,090
우유 유래 기능성 펩타이드의 대량생산 기술 확립 및 활용 제품 개발 39개월 188 938
박테리오신 생성능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복합제제 개발 및 응용제품 개발 49개월 270 1,710
식품산업 현장형 식중독균 신속 진단 기술 개발 29개월 300 1,100
식품 품질검사용 X-ray 발생장치 개발 29개월 75 275
다목적 원물(고형물) 충진 자동화 기술 개발 19개월 150 350
HMR 전용 온도분포 정밀제어 레토르트 설비 개발 39개월 281 1,406
신선 밀키트 품질안정화를 위한 고전압 기반 비가열 처리 장치 개발 39개월 281 1,406
식품포장재 적용을 위한 친환경 수용성 잉크 인쇄 기법 개발 19개월 225 525
연신 PE필름을 이용한 PE 유니소재 식품포장 기술 및 응용제품 개발 29개월 150 550
식품 및 물류용기를 위한 물리적 재생플라스틱 적용 공정기술 및 제품화 개발 39개월 300 1,500
Renewable Feedstock 기반의 친환경 식품 포장용 소재 및 응용 제품(필름, 용기) 개발 49개월 210 1,330
식품용 천연 보존제 개발 29개월 150 550
식용 미생물 활용 단백질 소재 생산기술 개발 29개월 250 910
휴먼 유래 올리고당 및 유도체의 생물학적 생산기술 및 제품개발 49개월 375 2,375
장류 특화형 스마트 제조 시스템 기술 및 제조실행시스템(MES) 개발 39개월 844 4,234
대체 감미료 결정화 및 고효율 생산 공정 개발 29개월 300 1,100
시장지향형 K-Food 천연 향미 소재 개발 및 산업화 49개월 300 1,900
식품용 효소 산업화 기술 개발 29개월 325 1,185
장 발효기술을 이용한 글로벌 천연 조미소재 개발 49개월 300 1,900
합 계 - 7,258 37,273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12. 27.]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2021년 도축장ㆍ집유장 HACCP 운용 적정성 조사·평가 결과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사료 내 중금속(구리, 아연) 및 인 감축으로 환경부담 저감 유도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