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리더] 건국대학교 식품유통공학과 최승철 교수 미트걸쳐비즈랩 소장 |
|||
|---|---|---|---|
| 작성일 | 2020-08-17 | 조회수 | 345 |
|
100 |
|||
|
[푸드&리더] 건국대학교 식품유통공학과 최승철 교수 - 미트컬쳐비즈랩(Meatculture Biz Lab) 소장 한돈산업과 인문학
알고 있어서 더 소비하는 시대, 아는 것이 미식인 시대. 이야기(story)로 말하는(tell)‘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는 한돈 스토리텔링 자료개발(2019년 12월) 등 한돈 스토리 개발을 위한 초석을 다져온, 건국대학교 식품유통공학과 최승철 교수가 한돈 홍보·마케팅에서 ‘인문학적 고찰’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하는 이유이다. ‘축산경영연구소’를 ‘미트컬쳐비즈랩(Meatculture Biz Lab)’으로 개명한 것도, 이와 관련이 깊다. Q. 돼지고기 소비자들의 요구에 변화가 있었다. 라이프 스타일, 식문화 등의 변화는 돼지고기를 소비하는 이유와 그 기준을 변화시켰다. 단백질 공급원으로 포만감을 중시하던 것에서, 이제는 ‘왜 또 무엇을 위해 구매하는지 사고(思考)하면서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고려하고 있다. 이제 소비행위는 소비자들에게 자신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며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하는 그 무엇이 됐고, 결국 다양성에 대한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흐름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이다. Q.이런 변화에 맞춰 한돈농가를 비롯한 한돈산업도 변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 그것이 충분한가는 논외로 하고, 한돈산업이 지금까지 성장하고 발전해 온 과정에서 소비자와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해 온 것은 사실이다. 특히 젊은 축산인들 사이에서 이런 변화의 움직임이 크게 감지되고 있다. 관습화된 매뉴얼에서 또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에게 어떤 가치를 줄 것인가를 고민하고 이를 농장 운영 방향으로 정하고 있다. 아직은 좀 부족해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품질의 한돈을 소비자들이 원하는 환경에서 사양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는 다양한 가격과 품질의 돼지고기 유통으로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Q.그런데 변화의 노력이 때로는 인정받지 못 하기도 한다. 외부의 기준에서, 때로는 내부의 기준에도, 그것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물복지, 축사환경 개선 등은 축산 관계자들의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그런데도 한돈산업과 한돈농장의 존재가치가 평가절하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도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여러 이유가 있지만, 한돈산업이 지금까지 걸어온 시간에 대한 스토리 전개가 부족하고 또 한돈농가의 지역경제와 사회발전에 대한 기여도나 환경 친화 노력이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본다. 소비자와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또 지구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고 이의 성과는 무엇이며 이것이 소비자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적극 알려야한다. 스토리텔링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는 것이다 Q.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한 번 더 강조해 달라. 지난해 ‘한돈 스토리텔링 자료개발’이란 한돈자조금연구 과제를 수행하면서, 우리나라에 돼지와 관련한 재미있는 이야기가 매우 많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됐다. 설화, 조리법, 사양관리법 심지어 돼지와 얽힌 지명도 적지 않았다. 매우 흥미로웠다. 이런 스토리는 한돈과 한돈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무엇보다 이 이야기들은 한돈과 한돈산업이 소비자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게 만들고 또 관계를 오래 유지하게 할 것이다. ‘알고 있어서 더 먹고 싶은 한돈’ 한돈을 둘러싼 모든 것을 수집해서 알려야 할 충분한 이유가 이 한 문장에 담겼다. Q.홍보·마케팅을 위한 소비자 조사 방법론의 변화 필요성으로도 연결이 된다. 지금까지는 수치를 바탕으로 한 접근(정량적 분석)이 주고 행해졌다면 여기에 인문학적 고찰(정성적분석)도 더해져야 한다고 본다. 수치가 말하지 못한 부분 또 놓친 부분을 역사, 문화 등의 인문학이 채우고 메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그 반대의 경우도 해당한다. 축산경영연구소를 ‘미트컬쳐비즈랩’으로 이름을 바꾼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다.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방법을 총동원해 축산업을 둘러싼 모든 것을 수집하고 정리해서 이를 알리는 일에 앞장서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축산업이 소비자들과 더욱 친해질 수 있도록 그래서 축산업이 더욱 발전하도록, 미트컬쳐비즈랩은 역할을 다하겠다. |
|||
| 목록 |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한돈콜라보] 홈캉스떠난 당신을 위한 맛있는 홈캉스 한돈 밥상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TV속 한돈] 한돈 뒷다리살=여름보양식, 한돈 소비 증진에 이바지 | ||